반응형

JavaScript 4

JavaScript - split() / .split is not a function

split() 함수 string.split(separator, limit) split() 함수는, 문자열을 'separator'로 잘라서, 'limit' 크기 이하의 배열에 잘라진 문자열을 저장하여 리턴합니다. separator 필수 x 문자열을 잘라 줄 구분자 (문자열 또는 정규식) 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문자열 전체를 배열에 담아서 리턴합니다. limit 필수 x 최대 분할 갯수 const str = "apple banana orange"; const arr = str.split(); console.log(arr); // [ 'apple banana orange' ] console.log(arr.length); // 1 파라미터로 아무것도 전달하지 않으면 문자열 전체를 length 1인 배열에 담아서 ..

JavaScript 2023.02.13

JavaScript - undefined 타입 & null 타입 차이점

null null 값은 오로지 null 값만 포함하는 별도의 자료형을 만듭니다. let name = null; 자바스크립트의 null은 자바스크립트 이외 언어의 null과 성격이 다릅니다. 다른 언어에선 null을 '존재하지 않는 객체에 대한 참조’나 '널 포인터(null pointer)'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.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선 null을 ‘존재하지 않는(nothing)’ 값, ‘비어 있는(empty)’ 값, ‘알 수 없는(unknown)’ 값을 나타내는 데 사용합니다. undefined undefined 값도 null 값처럼 자신만의 자료형을 형성합니다. undefined는 '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’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. 변수는 선언했지만, 값을 할당하지 않았다면 해당 변수에 undefi..

JavaScript 2023.02.09

JavaScript - 객체

객체 객체(object)형은 특수한 자료형입니다. 객체형을 제외한 다른 자료형은 문자열이든 숫자든 한 가지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원시(primitive) 자료형이라 부릅니다. 반면 객체는 데이터 컬렉션이나 복잡한 개체(entity)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 객체는 중괄호 {…}를 이용해 만들 수 있습니다. 중괄호 안에는 ‘키(key): 값(value)’ 쌍으로 구성된 프로퍼티(property) 를 여러 개 넣을 수 있는데, 키엔 문자형, 값엔 모든 자료형이 허용됩니다. 프로퍼티 키는 ‘프로퍼티 이름’ 이라고도 부릅니다. 빈 객체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. let user = new Object(); // '객체 생성자' 문법 let user = {}; // '객체 리터럴' 문법 리터럴과 프로..

JavaScript 2023.02.08

JavaScript - 변수와 상수 ( let , const , var 차이 )

변수 ( let ) 변수(variable)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‘이름이 붙은 저장소’,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경우 상품이나 방문객 등의 정보를 저장할 때 변수이다. 자바스크립트에선 let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생성한다. let message; // 'message'라는 이름을 가진 변수를 선언 message = 'Hello'; // 할당연산자 = 를 사용해 변수 안에 문자열 'Hello' 를 저장 console.log(message); // Hello 출력 message = 'World!'; // message 변수의 값을 World! 로 변경 console.log(message); // World! 츨력 변수에 원하는 값을 넣고 원하는 만큼 값을 변결할 수도 있다. 값이 변경..

JavaScript 2023.02.07
반응형